전북지역 학교 특수교사 정원 못 미쳐…비정규직 증가세

도내 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사가 법정 정원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정원 확보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윤관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인천 남동 을)이 교육부에서 받아 2일 발표한 ‘시도별 특수교사 법정정원 및 배정정원 현황’에 따르면 올해 기준 도내 특수교사 법정 정원은 704명인데 반해 정규 특수교사는 491명으로, 충원율은 70%에 그쳤다. 비정규 교사 79명을 포함해도 충원율은 81% 수준에 불과하다.

 

이것도 지난 2013년의 62%(비정규 포함 71%), 지난해의 67%(비정규 포함 78%)에 비해서 상승한 수치이며, 전국 평균인 63%(비정규 포함 79%)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다.

 

특히 비정규 교사가 2013년 62명에서 지난해 75명, 올해 79명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이는 교육부의 교원수급관리계획 상 각 시·도교육청이 충원할 수 있는 정규 교원의 수가 정해져 있어, 특수교사를 정규 교원으로만 채우기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윤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 수가 매년 3000여명씩 증가하기 때문에 특수교사 법정 정원을 확보하겠다고 공약했으나 특수교사 채용은 매우 저조하다”면서 대통령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특히 윤 의원은 “특수교육은 학생들과의 교감에서 모든 교육이 시작되는 만큼 기간제 교사가 아닌 정규직 교사 배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