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미세먼지 및 오존 등의 농도가 중국을 비롯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 등의 영향으로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전북발전연구원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전북 대기오염 현황분석 및 대응전략’연구 보고에서 나왔다.
연구 보고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03∼2012년) 전북지역 대기환경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PM10)의 연평균 농도는 50.3㎍/㎥로 기준치(50㎍/㎥)를 넘어섰으며, 도내 14개 측정망의 연평균 측정치(117건) 가운데 절반이 넘는 61건(52.1%)이 기준을 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1일(24시간) 미세먼지 평균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일수는 연 33일에 달했다. 주요 초과 지점은 전주 삼천동과 팔복동, 군산 소룡동, 익산 남중동과 팔봉동, 남원 및 정읍시 등이었다.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2007년 전주 삼천동이 70㎍/㎥(연평균)를 기록하는 등 최고점에 달한 이후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여전이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발연은 “미세먼지는 외부 유입원의 영향이 23∼37% 정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면서 “전북지역은 지속적으로 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어 미세먼지 저감 및 적응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올 1월부터 적용되는 초미세먼지(PM2.5)는 주민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게 돼 건강관리 측면에서의 정책적 대안마련이 요구됐다.
오존의 경우, 기준치(0.06ppm)를 초과하는 일수가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8시간의 평균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는 174일, 1시간 평균값이 초과한 경우는 246일에 달했다.
오존은 해풍의 영향을 받는 고창과 산림특성이 있는 임실지역이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았다. 이는 오존농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인 질소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적어 일반적으로 오존이 줄어드는 야간시간대에 소멸되지 않고 대기중에 축적되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도시지역에서는 전주시 태평동과 군산 신풍동, 익산 팔봉동에서 초과 빈도가 높았다.
이와 함께 황사는 2000년대(2001∼2010년)의 발생 일수가 연평균 10.4일로, 지난 1980년대(연평균 3.5일)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발연 장남정 연구원은 “ ‘OECD 환경전망 2050’에 따르면 현 추세대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될 경우 2050년엔 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조기사망율이 2배 이상 증가해 연 36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면서 “이에 맞춰 전북도도 대기환경 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체계적 대기관리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발연은 연구 보고를 통해 대기환경 정보시스템 구축과 사업장 배출량 관리, 건강영향조사 연구, 대기오염물질 외부유입 영향분석, 오존발생 특성조사 등 4대 전략 14개 세부과제를 전북도 중기 대기정책 과제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