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한옥마을 꼬치구이점 퇴출 결국 미뤄

시, 결정 한달여만에 방침 전면 유보나서 논란 / 상인회 자정노력 등 고려 / 오락가락 행정 악영향 우려

▲ 전주 한옥마을 꼬치구이점 퇴출이 유보된 가운데 5일 많은 관광객들이 꼬치구이를 먹기위해 줄을 서 있다. 추성수 기자

전주시가 한옥마을의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꼬치구이점에 대한 퇴출을 결정하고, 관련 행정절차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한달 여만에 이같은 방침을 전면 유보하면서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전주시는 최근 한옥마을 내 꼬치구이점 업주들이 상인회를 결성, 그간 제기된 위생·냄새·쓰레기 배출 등의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자정결의를 한 점을 고려해 퇴출을 위한 행정절차를 미루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로 한옥마을을 찾는 관광객이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고, 꼬치구이점들이 자정노력에 나선 만큼 당분간 두고보겠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시가 어렵게 내린 결정을 명확한 근거 없이 유보하면서 사실상 꼬치구이점 퇴출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6월 말, 2011년 11월 변경·고시된 전주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한옥마을 내 꼬치구이점에 대한 영업취소 등 행정절차를 밟는다고 밝혔다.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은 피자와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점의 전주 한옥마을 내 입점을 금지하고 주막과 같이 전통 이미지에 맞는 상업시설만 부분적으로 허용토록 규정했다.

 

이는 전주 한옥마을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체험 관광지로 자리매김하면서 불거진 급속한 상업화 등의 문제를 해소, 한옥마을 고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조치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전문가 자문을 거쳐 즉석 조리식품인 꼬치구이도 패스트푸드의 한 형태로 보고 전주 전통문화구역 지구단위계획 변경(2011년 11월) 이후 입점한 한옥마을 내 꼬치구이점 11곳(전체 20곳)에 대한 영업취소 절차를 밟을 계획이었다.

 

특히 전주시는 그동안 한옥마을 내 꼬치구이점으로 인해 제기된 각종 냄새·위생·정체성 논란 등의 민원 해소와 눈앞에 둔 한옥마을 국제슬로시티 재인증을 위해서는 꼬치구이점의 퇴출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른 한옥마을 내 꼬치구이점에 대한 실태조사도 마친 상태다.

 

하지만 전주시가 돌연 이들 꼬치구이점에 대한 퇴출을 유보한다는 방침을 세워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 이 같은 시의 오락가락 행정이 한옥마을의 정체성 확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젊은층들은 주로 먹거리를 찾아 한옥마을에 오는데, 꼬치구이점이 사라지면 관광객이 줄어들 수 있다”며 “또, 꼬치구이점들이 영업 방식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만큼 영업취소 절차를 강행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