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⑬ 입추] 비 내리지 않고 맑은 날 바라는 기청제 올려

▲ 2000년 8월 입추에 김장용 배추를 옮겨심는 등 도내 산간지역에서는 차츰 가을을 준비하는 일손이 바쁘기만하다. 전북일보 자료사진
입추(立秋)는 양력 8월 8일경으로 24절기 가운데 열세 번째 절기다.

 

대서와 처서 사이에 들어있으며, 우주 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로서 여름이 지나고 비로소 가을에 접어드는 것을 알리는 절기다. 이 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이라고 한다.

 

가을의 문턱에 들어섰다는 입추이지만 더위가 완전히 가신 것은 아니다. 아직도 한낮에는 햇볕이 쨍쨍 내리쬐고, 등에는 땀이 줄줄 흘러내린다. 더위는 삼복(三伏)의 극치를 이루는데, 8월 중순에 말복이 들어 있으므로 혹서를 이기는 지혜가 필요할 때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입추는 6월 하순에 들어 있으며, 입추 입기일로부터 처서까지의 기간을 5일씩 나누어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초 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온다. 중 후에는 흰 이슬이 내리고, 말 후에는 쓰르라미(한선寒蟬)가 운다.

 

농촌에서는 참깨, 옥수수를 수확하고 일찍 거두어드린 밭에는 김장용 배추와 무를 심기 시작한다. 태풍과 장마가 자주 발생하여 논에서는 병충해 방제가 한창이고 태풍으로 쓰러진 벼를 일으켜 세우기도 한다. 이 무렵부터 논의 물을 빼기 시작하는데 1년 농사의 마지막 성패가 이때의 날씨에 달려있다고 할 만큼 중요한 시기이다.

 

옛 풍속으로는 입추 무렵에는 기청제(祈請祭)가 있다. 이때는 벼가 한창 여무는 시기라서 비가 내리는 것을 큰 재앙으로 여겼다.

 

기청제는 비가 내리지 않고 맑은 날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는데, 이를 성문제(城門祭)또는 천상제(川上祭)라 부르기도 했다. 비가 5일 이상 계속 내리면 조정이나 고을에서는 비가 멈추게 해달라고 제를 지내는 풍속이다.

 

춘추번로(春秋繁露)라는 중국 옛 문헌에는 성안으로 통하는 수로를 막고 모든 우물은 덮어두었다. 제사를 지낼 때는 물을 잘 사용하지 않았고 부부관계도 피했으며, 제사 장소에는 붉은 깃발을 날리고 제주(祭主)도 붉은 옷차림을 했다. 기우제를 지내는 풍속과는 대조를 이루는 셈이다.

 

이때 복병인 태풍이 오기도 하는데 음력 2~4일과 17일~19일 두 차례 바다의 수면이 올라가는 사리 현상이다. 이른 봄부터 농사에 온 정성을 다하여 결실의 절기를 맞았는데 천재의 변이 올까 농민들은 노심초사(勞心焦思)하며 지내는 시기다.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으로 농작물과 가옥파괴 등 재산과 인명 피해까지 겪는 사례가 많았다.

 

세시기에 따르면 입추에 청명하면 풍년으로 여기고, 비가 조금 오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겼다. 또한, 천둥이 치면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 해 봄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을 치기도 했다.

 

이즈음은 산에는 자귀나무꽃과 칡꽃이 한창이다, 또한 배롱나무꽃이 피기 시작하여 피고 지기를 100일 동안 계속된다, 그래서 백일홍이라고 부르며 자미꽃, 파양수꽃이라 불리기도 했다.

 

이 무렵은 김매기도 끝나가고 농촌도 한가해지기 시작한다. 그래서 어정 7월 건들 8월 이란 말이 거의 전국적으로 전해진다.

 

이때는 더위가 한 풀 꺾여 반갑기도 하지만, 태풍이 와서 그동안 정성드린 농작물이 한순간 날아갈 위험한 시기다. 그래서 비는 순하게 오고 바람은 잔잔한 바람이 불기를(우순풍조雨順風調) 농부들은 기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