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의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됐던 국정원·전문가 기술간담회는 자료제출 문제로 사실상 무산된 데다가 자체 진행중인 자료분석 작업도 9일 현재까지 뚜렷한 진척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안 위원장은 일단 이번 주 시작될 국회 안전행정위와 국방위의 현안보고나 검찰수사를 지켜보면서 진상규명 작업을 이어가는 한편 국정원 제도개혁을 추진하며 위원회 활동을 중단없이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안 위원장은 국정원 해킹 의혹이 불거지자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IT 보안 전문가’라는 전문성을 살려 지난달 15일 당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으며 당직에 복귀, 진상규명에 앞장서 왔다. 여당은 “무책임한 공세로 국익을 해친다”며 연일 맹공을 가했지만 안 위원장은 “국정원과 새누리당이 정쟁을 유발하고 있다”고 반박하며 차분한 정책적 대응이라는기조를 유지하겠다며 맞섰다. 하지만 국정원이 “민간인 사찰은 없었다”고 의혹을 전면 부인한 가운데 아직까지 의혹을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안 위원장의 이 같은 포부가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야당으로선 국정원에 자료제출을 강제할 수단도 없고, 이탈리아 ‘해킹팀’에서 유출된 자료에 대한 분석작업도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이제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지만, 안 위원장은 ‘철수’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안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직 할 일이 많다. 자료 분석작업도 덜 끝났고, 검찰수사는 아직 시작도 안 했다. 이번 주에 상임위 현안보고와 함께 국정원 제도개선 및 정보역량 강화를 위한 토론회도 열린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