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⑩ 지역 특화 디자인산업 육성] 역량있는 디자이너 유입할 여건 구축 시급

디자인으로 유명한 나라를 꼽으라면 많은 독자들은 이탈리아, 프랑스 등을 꼽을 것이다.

 

그러나 디자인을 독립된 산업으로 분리하고 집중 육성하여 국가 성장 동력의 중요한 틀로 구축한 나라는 영국이다.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는 영국이 부러운 두 가지를 세익스피어와 디자인이라고 할 정도로 영국에서 디자인산업은 그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 금융과 서비스의 나라였던 영국은 2000년대 들어 기존 산업이 위축되고 영국을 지탱할 뚜렷한 산업이 보이지 않았다. 2009년 뉴스위크지는 영국에 대해 “영국은 대영제국의 명성을 잃은 지 오래며 머지않아 경제소국으로 전략할 것이다”라는 비난을 퍼붓기까지 하였다.

 

하지만 1997년 토니 블레어 당시 총리가 ‘멋진 영국(Cool Britain)’을 외치며 디자인산업 육성에 투자를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후 영국의 디자인 인프라는 세계 최고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가의 주력 성장동력으로 자리했다. 그 결과 디자인산업으로만 매년 수십 조의 매출을 기록하며 영국의 잠재력을 재평가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70년대 경제발전과 함께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진흥사업이 추진되기 시작하였으나 그 가치에 대한 충분한 인식 없이 경제발전을 위한 전략산업을 지원하는 정도로 인식했다. 2008년 말 서울을 세계의 디자인수도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 아래 서울디자인재단이 설립되면서 디자인산업이라는 용어와 함께 디자인을 독립적인 산업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전주는 산업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이다. 향후 전략산업으로 농생명산업, 탄소산업, 주얼리산업, 문화관광산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인프라의 구축을 기대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디자인은 아직도 전략산업 추진을 위한 지원사업 정도로 간과되고 있지는 않은지 우려된다.

 

그러나 전주를 중심으로 하는 전북은 디자인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광역권 및 지역디자인센터 등을 설립하고 지방의 산·학·연·관을 연결한 다양한 디자인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히 도내에도 지역특화형 디자인센터가 추진되고 있다는 소식이 반갑기만 하다. 디자인센터가 전략산업의 디자인을 지원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말고 특화된 디자인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도내에서 추진하는 전략산업의 디자인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량있는 경력디자이너가 유입되어야 하고 또한 지역 출신의 그런 디자이너가 유출되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산업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전주대 산업디자인학과 출신 디자이너 대부분이 수도권에서 일하는 것을 보면 심각하지 않을 수 없다. 전북권에는 일할 수 있는 디자인 회사가 드물기 때문이다.

 

흔히 사람들은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기업이 전북에 많지 않기 때문이라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지역의 디자인회사는 지역의 기업을 우선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는 발상 자체가 디자인을 독립적인 산업으로 보지 못하고 자원사업으로 보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외국의 유명 디자인회사의 경우 대도시에 있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친환경 청정지역인 외딴 도시에 있으면서 대도시의 기업을 위해 일하고 있고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 도내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디자인회사가 자리하면 좋을 것 같은 장소를 많이 발견하게 된다.

 

전북은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콘텐츠가 가장 풍부한 지역이다. 이번에 추진되는 지역특화형 디자인센터는 전통문화 기반의 디자인센터로 고객을 전북지역의 기업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기업과 글로벌 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디자인회사를 육성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를 기대해 본다.

 

이러한 국제수준의 디자인산업이 구축되면 도내의 전략산업은 당연히 최고 수준의 디자인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지역의 전략산업만을 고객으로 하는 디자인회사에는 역량있는 디자이너의 유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주대 산업디자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