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킨스쿠버 초급 자격증을 취득한 박모 씨(32)는 연습을 위해 다이빙풀이 있는 전주 완산수영장을 찾았다. 그러나 “스쿠버 강사 자격증(인스트럭터)이 있는 사람을 대동하지 않으면 안전을 담보할 수 없어 입장이 불가하다”는 수영장 측의 설명을 듣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 결국 박씨는 초급 스쿠버 자격증만 소지해도 입장이 가능한 다이빙풀을 찾아 다른 시·도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16일 국민생활체육 전국스킨스쿠버연합회에 따르면 스쿠버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현재 약 45만명으로 최근 국민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마다 2만 여명씩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증가세는 전북지역도 마찬가지라는 게 전국스킨스쿠버연합회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현재 전북지역에는 스쿠버 다이빙 강습을 할 수 있는 실내 공간(다이빙풀)이 부족한데다 입장도 자유롭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용객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도내 다이빙풀(diving pool)은 전주시 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는 전주 완산수영장과 개인이 운영하는 사설 다이빙풀 4곳 등 모두 5곳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 규격을 갖춘 완산수영장 다이빙풀은 스쿠버 강사 자격증 소지자와 동반하지 않으면 입장 자체가 어렵다.
반면 자치단체별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수영장 중 대전·대구에서는 초급 자격증만 있으면 입장이 가능하며, 충북도 학생수영장의 경우에는 자격증이 없어도 입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킨스쿠버 자격증은 △오픈워터(초급) △어드밴스 △레시피 △마스터 △인스트럭터(강사) 순으로 총 5단계로 구분된다.
박 씨는 “전북에서 스쿠버 강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면서 “현실적으로 이들과 매번 동행할 수 없어 규제가 적은 인근 지역의 다이빙풀을 찾아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 완산수영장 관계자는 “강사 단계의 자격증을 소지하지 않은 채 스쿠버들이 다이빙을 하면 사고가 날 가능성이 크다”며 “다이빙풀 입장 기준을 완화하는 것은 안전과 연결된 문제라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