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중 선대위 출범을" 새정연 비주류측 주장

신당 회의론 확산에 "文 대표 체제는 유지" / 공천 과정 소외 우려, 당내 활로 모색 차원

20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8개월이나 남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는 벌써부터 총선 공천을 겨냥한 기 싸움이 벌어지는 양상이다. 당내 비주류와 비노 진영을 중심으로 연내에 조기 선거대책위원회를 꾸리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조기 선대위체제를 주장하는 이들은 그동안 문재인 대표 체제로는 총선이 어렵다며 대표직 사퇴 요구를 주로 해왔지만, 최근에는 신당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면서 문 대표가 대표직은 유지하되 조기 선대위를 구성하자는 일종의 절충형 의견을 내놓고 있다.

 

총선을 8개월이나 남긴 시점에서 이 같은 주장이 점화된 것은 혁신위원회가 발족되고, 이들이 강도 높은 공천개혁안 마련에 나서자 불이익을 우려한 비주류가 공천 과정에서 자기방어 목소리를 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창일 의원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분당, 신당 얘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문 대표까지 사퇴하면 당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통상 선대위는 선거 2~3개월 전에 꾸려지지만 이번에는 10월께 출범시켜 공천까지도 선대위에서 다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조기 선대위 구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범주류의 초·재선 모임인 ‘더좋은 미래’도 상황에 따라 지도체제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에서는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지도체제 모형을 참고해 12월께 선대위를 구성하자는 이야기도 흘러나오는 상황이다.

 

비주류를 중심으로 한 이 같은 기류는 현재로선 신당이 창당되더라도 성공 가능성이 적어 당내에서 활로를 모색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에 근거해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수도권 의원들은 신당 창당 시 야권 분열로 인해 필패할 것이라는 우려가 매우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문 대표 체제가 유지되면 내년 총선 때 친노(친노무현) 진영이 공천권을 전횡할 것이라는 의구심이 큰 비주류로서는 문 대표의 사실상 ‘2선 후퇴’를 통해 공천권 개입을 차단할 장치를 ‘조기 선대위’로 보고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그러나 주류는 비주류이 이런 움직임을 내년 공천권을 염두에 두고 지도부를 흔들려는 시도로 보고 있어 조기 선대위 구축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문 대표가 ‘공천권을 내려놓겠다’는 의사를 꾸준히 표명하고 혁신위에도 일절 관여하지 않고 있음에도 공천을 전횡할 우려가 있다는 식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이런 식은 오히려 분란을 조장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