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친환경농업 활로 찾는다

道, 24일 삼락농정 포럼 5차 정책 세미나 / 생산자 광역 네트워크 형성에 무게 / 시장변화 대응 세부대책 도출 주목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오히려 전북지역 친환경농산물 인증 건수는 2010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저농약 인증제도 폐지의 영향으로 2010년 이후 저농약 인증 면적이 크게 감소하고, 인증관리 강화로 2013년 이후 유기와 무농약 농산물 인증 면적도 감소하는 추세다.

 

이와 관련 친환경농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광역 단위 이상의 생산자 협동, 농가 조직화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북도 삼락농정위원회는 24일 전북농업기술원 농심관에서 ‘친환경농업의 진로와 과제’를 주제로 삼락농정 포럼 제5차 정책 세미나를 열고, 친환경농업 해법을 모색한다.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 김영규 경제사업위원장은 사전 배포된 자료를 통해 “일부 지역 단위의 특화 품목을 제외하고 영농법인, 지역농협, 시·군 단위 브랜드로는 시장 대응력을 갖기 어렵다”며 “광역 단위 이상의 생산자 협동, 조직화로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품목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에서도 생산 지원 정책보다는 유통·소비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광역 단위 생산 체계 구축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펼쳐야 한다”며 “친환경농가 측도 계약재배 이행, 품질 고급화, 가격 안정화로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농촌진흥청 이덕배 토양비료과장은 “지역 단위별로 가축분뇨 발생량과 퇴(액)비 제조 능력을 파악하고, 지역 농경지의 퇴(액)비 사용량 통계를 구축해 경축순환농업을 정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2015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 실태 및 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단기적으로는 2015년 저농약 인증제도 폐지에 따른 친환경 과실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직불제 개선, 생산자 보험 도입, 유기농 과수 재배 안내서 보급 등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중장기적으로는 유기농, 무농약 농산물 시장 규모 확대에 대응한 수요 창출(학교급식 확대, 가공식품 생산 등)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도내 친환경농산물 인증 면적은 지난해 기준 7180㏊로 전국 친환경농산물 재배 면적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도내 인증 면적은 2010년 1만 2285㏊, 2011년 1만 650㏊, 2012년 1만 371㏊, 2013년 8667㏊ 등 감소 추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