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 휴면카드 증가율 높아

올 2분기 13.9% 늘어…타 은행·카드사는 줄어 대조

최종 이용일로부터 1년 이상 이용실적이 없는 개인·법인 신용카드인 ‘휴면카드’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은행과 카드사의 휴면카드는 오히려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25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개 신용카드사와 11개 은행의 올 2분기 휴면카드는 833만6000장으로 전년 동분기 985만4000장과 비교해 15.4% 감소했다.

 

하지만 대다수 은행·카드사의 휴면카드 수가 줄어들었지만 전북은행과 광주은행 등 4곳의 휴면카드는 증가했다.

 

전북은행의 경우 올해 1분기 3만6000장 이었던 휴면카드가 2분기에는 4만1000장으로 13.9%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광주은행도 3만8000장에서 3만9000장(2.6%), 부산은행이 8만장에서 8만4000장(5.0%), 하나카드도 73만9000장에서 80만9000장(9.5%)으로 각각 휴면카드가 증가했다. 올 2분기 총 신용카드 수 대비 휴면카드의 비중은 수협이 18.00%로 1분기에 이어 가장 높았고 대구은행이 16.97%, 전북은행이 16.41%,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이 14.58%, NH농협은행이 14.50%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전북은행의 휴면카드 비중은 지난 1분기 14.42%로 8개 신용카드사와 11개 은행 중 7번째를 기록했지만 불과 3개월사이 3번째로 올라섰다. 반대로 휴면카드 비중이 가장 적은 곳은 현대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등이었다.

 

올해 1분기 현대카드의 휴면카드 비중은 5.79%로 가장 적었고 이어 신한카드(5.82%), 삼성카드(8.46%), 하나카드(9.49%)가 한자릿 수를 나타냈다. 2분기에는 신한카드가 5.25%로 현대카드(5.67%)를 제치고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고 삼성카드(7.99%)와 국민카드(9.12%)가 뒤를 이었다.

 

한편 휴면카드 해지를 원하는 가입자는 카드사 상담센터, 인터넷 홈페이지, 영업점 방문을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