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검찰청 첨단범죄 수사팀입니다. 김00씨 명의로 된 대포통장이 만들어져 조사가 필요한데요….”
주부 김모씨(33·전주시 송천동)는 최근 서울지방검찰청으로부터 명의가 도용됐으니 즉시 문자로 전송받은 검찰청 인터넷 사이트 주소에 접속하라는 휴대폰 전화를 받았다. 착신번호가 서울 지역번호 ‘02’로 시작됐고, 사건접수증까지 확인한 터라 보이스피싱일 것이란 의심도 하지 못했다. 김씨는 주저 없이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가 계좌번호, 인터넷뱅킹 ID, 비밀번호, 인증번호, OTP번호까지 기입했다. 그러나 입력과 동시에 김씨의 통장에서는 650만원이 빠져나가버렸다.
김씨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경찰·검찰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수법에 당한 것이었다.
전주 덕진경찰서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신종 사기 유형을 파악해 범죄를 예방해야 한다고 밝혔다. 덕진경찰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7월까지 덕진구 관내에서만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71건에 이른다.
분석 결과, 올 피해자 30명 중 20~30대 여성이 20명(66%)으로 가장 많았으며 과거 보이스피싱의 주 타깃이었던 65세 이상 노인은 2명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20~30대를 노리는 보이스피싱이 증가하면서 범행 수법 역시 한층 치밀해졌다.
최근 유행하는 사기수법으로는 △수사기관(경찰·검찰) 및 금감원 사칭 △대출사기 △인터넷 소액결제 등이 있다. 수사기관 사칭 유형은 사건조사를 핑계로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얻어 계좌에서 돈을 빼내는 수법이며, 대출사기는 저렴한 이자로 대출을 해준다고 속여 신용등급을 올리는 전산작업 비용, 공증비, 이자선납금 등을 편취하는 방식이다.
한편, 덕진경찰서는 전주시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보이스피싱 예방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