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로 인한 치안수요증가와 갈수록 난폭해지는 서해상에서의 중국어선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오는 2016년 부안에 해양경비안전서가 신설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춘진 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부안·고창)은 26일 부안에 해양경비안전서(구 해양경찰서)를 신설하는 내용의 직제개편안이 기획재정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북 서해안의 경우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증가와 새만금 내부개발 등으로 인해 해상치안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그러나 정작 치안을 책임질 해양경비안전서는 군산 1곳뿐이었다. 경기도와 충남 각 2곳, 전남에 3곳의 안전서가 설치돼 있는 것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향후 새만금개발 등으로 인해 급격히 늘어날 것을 보이는 전북지역 해상의 치안수요 감당을 위해 부안 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의 필요성이 제기됐었다.
기획재정부의 부안해양경비안전서 직제개편안 통과로 해양경비안전본부(구 해양경찰청)는 오는 10월께 부안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을 위한 준비단을 발족할 예정이다.
2016년 3월 개서를 목표로 추진되는 부안해양경비안전서는 서장(총경)을 비롯해 총 정원 263명(5과 1센터) 규모로 문을 열 것으로 보인다.
부안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김 위원장은 “부안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을 통해 새만금개발사업과 중국어선 등으로 인한 치안수요증가에 적절히 대응해 지역어민의 안전향상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4월 당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을 상대로 서해의 경우 중국과의 교역 확대로 해상교통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해상치안인력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부안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을 촉구했다.
또 올해 7월 15일에는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을 직접 만나 부안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을 강력 요청한데 이어 기획재정부 심사단계에서는 관계자들에게 해양경비안전서 신설의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