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94∼5년 한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종합적 기록으로, 이번에 신청한 기록물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동학농민군의 임명장, 회고록 등 동학농민군 기록(27건), 동학농민군 진압에 가담한 관료 및 진압군의 공문서와 보고서 등 조선 정부 기록(115건), 민간인의 문집 및 일기 등 민간 진압 기록(16건), 개인들이 동학농민혁명을 목격하거나 전해들은 내용을 기록한 개인 견문 기록(11건), 일본 측 관련 기록(2건) 등 171건(약 1만1,000면)이다.
이 기록물은 당시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세계 유일의 기록으로, 일정한 장소와 시간에 집중적으로 기록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세계사적인 가치가 있다. 또 동학농민군, 정부, 관료, 진압군, 민간지식인 등 여러 주체가 각각의 관점에서 인식한 기록으로, 하나의 사건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된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완전성과 희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게 추진위의 설명이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지난 6월 세계기록유산등재추진위원회을 꾸린 뒤 4차에 걸쳐 학술연구분과위원회를 개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대상과 범위 등을 정하고 등재 신청 기록물 목록을 확정했다.
이번에 신청한 기록물들은 현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50건), 고려대 도서관(30건), 국가기록원(5건), 국립중앙도서관(5건), 국사편찬위(6건),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60건),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3건), 천도교 중앙총부(10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2건) 등 9개 기관에서 소장·관리하고 있다.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문화재청에서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10월중 등재 대상 기록물에 선정되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등재심사소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2016년 6~7월 중 최종 등재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