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국도 터널 내 주요 방재시설 설치율이 61.5%로 전국 11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나 자칫 대형 참사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황영철 의원(새누리당)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지역은 주요 방재시설 설치 대상 국도 터널 26곳 중 16곳에만 방재시설이 구비돼 설치율은 61.5%에 그쳤다. 도내 주요 국도 터널 5곳 중 2곳은 화재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필요한 방재시설이 없는 셈이다.
전국적으로는 국도 터널 708곳 중 536곳에 주요 방재시설이 설치돼 설치율이 75.7%에 달했다. 전북의 경우 전국 평균에 비해 14.2%포인트 정도 설치율이 낮았다.
터널은 좁고 폐쇄된 공간이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면 다른 차량이 연쇄적으로 추돌하는 2차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 방재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주요 방재시설 설치율은 전북(61.5%), 강원(63.4%), 전남(68.5%), 경북(78.5%), 충남(80.9%) 순으로 낮았고,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울산광역시는 100%의 설치율을 보였다. 대도시인 서울과 부산·인천·대구·광주, 그리고 도서지역인 제주도는 비교 대상에서 제외됐다.
터널 주요 방재시설에는 피난연결통로, 진입차단설비, 유도표지등, 자동화재탐지설비, 제연설비 등이 포함된다.
터널에서 재난이 일어났을 때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피난연결통로 설치율 역시 11개 광역시·도 중 전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피난연결통로를 설치해야 하는 500m 이상의 국도터널은 전북의 경우 14곳이지만 설치율은 28.6%(4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국도 터널에서는 지난 2013년 이후 최근까지 모두 370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2013년에 132건, 2014년에는 153건이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 6월 기준으로만 85건에 이른다. 해마다 터널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황영철 의원은 “국도 터널은 고속도로 터널과 달리 협소한 2차선이 많아서 방재시설 개선이 힘들다”며 “개별 방재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터널 안전을 고려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