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발전연구원(이하 전발연)은 정부의 ‘국정 2기, 문화융성의 방향과 추진계획’에 전북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전통문화 융합 콘텐츠산업’이 핵심전략으로 설정된 것과 관련해 이에 대한 적극적인 사업발굴과 국책사업화를 제안했다.
전발연 장세길 박사는 6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전북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분야별 국책사업 발굴방향과 세부계획별 제안사업을 제시했다.
정부의 국정 2기 문화융성계획은 △전통문화유산과 보유자산 세계화 △문화융성과 창조경제 시너지 창출 △국민의 문화향유 확대 분야로 구성돼 있다.
장 박사는 전통문화유산과 보유자산 세계화와 관련해 “전북이 제안한 K-FOOD 콤플렉스와 한국소리창조클러스터가 음식관광창조타운, 소리창조클러스터라는 이름으로 국책사업화되고 있다”고 들고 “K-FOOD, K-SOUND에 이은 새로운 아젠다로 영성문화를 ICT와 연계한 영성산업클러스터, 그리고 새롭게 주목받는 전통문화 분야인 전통주의 산업화단지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판소리·농악은 아리랑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나, 문화융성 계획에는 아리랑만 특화돼 있다”면서 “판소리와 농악의 세계화 사업도 아리랑 수준으로 추진되도록 전북에서 사업을 발굴해 제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융성과 창조경제의 시너지 창출 분야에서는 이야기 산업이 집중 육성될 것으로 보고, 국립무형유산원이 위치한 전북의 경쟁력을 살려 ‘무형유산 스토리 창작클러스터’, 무형유산에서 발굴된 이야기를 융합한 ‘글로벌 게임산업 클러스터’, 디지털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종합 실증화&체험거점 등을 국가사업으로 제안됐다.
신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인 ‘영상물 촬영 유치활동 촉진 위한 정부·지자체 협력사업’, ‘지역대표 콘텐츠기업 발굴 및 육성’, ‘융합벨트-혁신센터 플래그십 프로젝트’ 등은 전북이 시범사업이나 선도사업 지역으로 선정되도록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국민의 문화향유 확대 분야에 대해서는 ‘어린이 창조놀이터 개발 및 확산’, ‘인문·정신문화 분야 예술강사 확대’, ‘실버세대 문화프로그램·동호회 지원’, ‘지역 원로예술인 공연단 구성 및 활동지원’, ‘노인복지관·경로당의 문화공간화’등에 대한 공모사업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