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진흥법이 지난 7월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전북 지역 학교에는 인성교육지도사 투입이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김승환 교육감은 7일 오전 전북도교육청 확대간부회의 자리에서 “전북의 학교 현장에는 인성교육지도사가 들어와 인성교육을 하는 일은 없다”고 못 박았다.
김 교육감은 그러면서 “이 같은 원칙은 지난주 우리 교육청을 방문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수석전문위원, 입법심의관, 입법조사관들에게도 정확하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인성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우후죽순 생겨난 관련 자격증 및 사교육 시장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국내 포털사이트에서 ‘인성교육지도사’를 검색해보면 각종 인증기관의 웹 사이트가 여럿 검색된다. 또 “전망 좋은 자격증”이라면서 관련 사교육을 추천하는 글도 눈에 띄었다.
김 교육감은 이날 “법 시행 이후 인성교육이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느낌”이라고 밝혀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옥희 대변인은 “인성교육은 교사 중심으로 교육과정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라면서 “자격 문제와 함께,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한다는 차원에서 이 같은 원칙이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