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케이블카 설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남원시 지리산 케이블카, 진안군 마이산 케이블카 설치를 두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내세운 해당 지자체와 환경 훼손을 우려하는 환경단체 간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갈리고 있다.
10일 지자체 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남원시는 사업비 250억원을 투입해 허브밸리~바래봉 2.1km 구간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노선 변경안을 내놨다. 기존에는 421억원을 투자해 반선지구~중봉 하단부(반야봉 인근) 6.6km 구간에 케이블카를 설치할 계획이었다. 재선정된 노선과 관련해 남원시는 공원계획 변경, 환경영향평가를 포함한 용역비 3억원을 확보한 상태다.
최근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가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을 조건부 의결한 가운데 전북 남원, 전남 구례, 경남 산청·함양 등 4개 지자체도 지리산 케이블카 건립 관련 용역을 추진하거나 중앙부처 움직임을 살피고 있다. 남원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는 2012년 열린 국립공원위원회 삭도(케이블카) 심의에서 환경성, 공익성 측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부결된 바 있다.
남원시 관계자는 “지리산 케이블카 관련 4개 지자체 간 협의를 요구하는 환경부의 입장에 변화가 없어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남원을 비롯한 전남 구례, 경남 산청·함양 등이 단독으로 추진하려는 의지가 강해 지역 간 합의는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당시 지리산 케이블카는 환경 훼손, 미미한 경제성 등을 우려한 시민·환경·종교단체의 반대가 거세 논란이 됐다. 최근에는 진안군이 마이산 케이블카 관련 타당성 용역을 추진하자 환경단체가 즉각 성명을 발표해 용역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후 이항로 진안군수도 기자회견을 열어 입장을 피력했고, 환경단체는 기자회견을 재반박하며 설전을 벌이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진안녹색평화연대, 정의당 전라북도당 등 10개 단체는 이날 진안군청 앞에서 ‘마이산 케이블카 추진 타당성 용역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 파괴, 예산 낭비 등의 이유를 들며 반대 뜻을 견지했다.
이들은 “케이블카 건립은 천혜의 경관을 보유하고, 지형·지질학적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높은 마이산을 훼손할 우려가 크다”며 “또 환경부의 자연공원 케이블카 설치 운영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영 수익 대비 경제성도 낮아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진안군 관계자는 “마이산 케이블카 건립은 지난 1997년 공원계획에 반영된 것으로 군에서는 현시점에 맞게 타당성 용역을 진행해 그 결과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환경단체, 지역 주민 등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