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안이 중앙위원회를 통과했으나 그 과정에서 계파간 갈등이 해소되지 못한채 오히려 노골화되는 등 상당한 여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문재인 대표가 추석전 재신임 방침을 꺾지 않고 강행할 경우, 당내 혼란과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당을 깨서는 안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혁신안을 통과시키긴 했지만, 이날 회의 진행방식(기명투표)에 대한 비주류측의 강한 불만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6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앙위원회 회의를 열어 혁신위원회가 마련한 당 지도체제 개편과 공천방식 변경안을 표결없이 박수로 가결시켰다. 이에앞서 일부 의원들은 “문 대표의 재신임이 걸린 인사 사항이므로 무기명투표를 해야 한다”며 거세게 반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투표를 포기하고 퇴장했다. 의결에는 재적의원 과반수 이상인 340여명의 중앙위원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혁신안이 부결되면 대표직에서 사퇴하겠다고 선언한 문재인 대표는 재신임의 첫 관문을 우여곡절 끝에 넘게 됐다. 하지만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혁신안이 박수로 가결된 만큼 문 대표의 재신임을 낙관하는 분석도 있지만, ‘유신시대를 보는 것 같다’는 등의 격한 말을 쏟아낼 정도로 양 진영의 감정의 골이 깊은 상황이어서 결과를 쉽사리 예단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문 대표가 재신임을 받더라도 당 내분을 완전히 씻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문 대표가 당의 공식 기구가 있음에도 재신임 여부를 독단적으로 결정하고, 공개투표를 진행함으로써 혁신안 통과를 사실상 밀어붙였다고 보는 비주류가 재신임 결과에 승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중앙위가 끝난 뒤 페이스북을 통해 “중앙위원회가 고성이 오가는 혼란속에 끝났다. 노무현 대통령 시대에 기틀을 잡았던 정당 민주주의가 상대방을 향한 비난과 고성속에 무너지고 말았다”며 “문 대표가 일방적인 독주에 나선다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
혁신안이 국민의 공감과 관심이 적은 제도개혁에만 치중돼 있고, 현역 의원들의 특권 내려놓기는 거의 없다는 당 안팎의 지적도 여전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당내 일부에서는 재신임 투표보다는 통합을 위한 문 대표의 행보와 결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혁신안이 우여곡절 끝에 통과는 됐지만 당내 분위기는 여전히 사납다. 재신임 정국이 시작되면 분열 양상을 더 커질 것이다. 문 대표가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해법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중앙위 직후 “혁신안을 전폭적으로 받아들여줘 진심으로 감사하다. 혁신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제도혁신 외에도 당의 문화와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본질적 혁신을 위해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