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1일 야당을 비롯한 정치권과 경제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국경제 위기론과 관련, "이제 지나친 비관과 비판의 늪에서 빠져나와서 경제체질을 바꾸고 혁신을 이뤄 제2의 도약을 이뤄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일각에서는 우리 경제에 대한 비관론도 있지만 이번에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도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을 통해) 인정했듯이 세계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보다 나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S&P의 신용등급 상향조정에 대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온 경제활성화와 구조개혁 노력이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일본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의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거둔 성과가 더욱 뜻깊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경제성장률은 작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국가 가운데 4번째로 높았고, 국민소득도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며 "국가채무 비율도 OECD 평균의 3분의1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재정건전성도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매우 양호한 수준"이라고 일각의 경제위기론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신용등급 상승을 계기로 보다 나은 경제를 만들고 국민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앞장서야 하겠다"며 "국민이 보다 자신감을 가 질 수 있도록 그동안의 성과와 향후 정책을 소상하게 알리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의 노동개혁 5대 법안 발의에 대해 "이 법안들이 국회를 통과해야만 노사정 합의도 완성이 된다"며 "노동개혁이 하루라도 빨리 실천될 수 있도록 수석실과 내각은 전력을 다하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이 지지하는 노동개혁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입법추진 과정에 서 (노사정) 대타협의 정신과 취지를 존중하고 노사와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청취하면서 합의사항을 하나하나 매듭지어 나가길 바란다"며 "국회도 노사정이 정말 어렵게 합의를 이룬만큼 대타협 정신을 존중해 후속조치 이행에 적극 협조해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는 강대국이었던 많은 나라들이 한순간에 추락하는 모습을 역사를 통해 배워왔다"며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위기를 위기로 느끼지 못하고 개혁의 때를 놓쳐버렸다는 것인데 우리는 결코 그런 전철을 밟아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개혁이 후손들을 위해 부모세대가 마무리해야 할 최소한의 의무라는 점을 인식하고 고통분담의 결단으로 이뤄진 17년만의 대타협이 큰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모두 뜻을 모아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