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상업용 건물의 공실률이 전국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용 건물은 오피스와 중대형 매장용으로 나뉘는데 오피스는 주 용도가 업무시설인 6층 이상의 일반건축물을 말하며, 중대형 매장용은 음식점·슈퍼마켓·옷가게 등이 입주할 수 있는 제1·2종 근린생활시설 등 3층 이상의 일반건축물을 말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강동원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남원·순창)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상업용 빌딩 공실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사무실과 중대형 매장 등 상업용 건물의 공실률이 매년 증가해 2015년 6월 기준으로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은 13.1%, 중대형 매장용은 10.7%에 달했다.
오피스의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전북으로 올 6월말 기준 22.6%의 공실률로 전국 평균치의 2배 수준에 육박했다. 특히 전북의 오피스 공실률은 2013년 17.0%, 2014년 20.3%를 기록하는 등 3년 연속 전국 최고치다.
전북의 중대형 매장용 건물 공실률도 전국 최고 수준으로 올 6월말 기준 17.1%를 기록해 경북(17.2%)에 이어 전국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전북의 중대형 매장용 건물 공실률은 2013년 16.1%, 2014년 17.0%를 기록하며 2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등 오피스와 함께 공실률이 전국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용 건물의 공실률은 서울·경기 등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높아 빈사상태에 놓인 지방경제 활성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이 높은 공실률을 보이는 이유는 심각한 지역경기 침체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소비둔화와 임차수요를 크게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분양되거나 미입주되는 건물들이 수두룩한데도 상가건물의 과잉 공급도 한 요인으로 분석돼 정부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강동원 의원은 “지방에 텅텅 빈 상업용 건물들이 늘어나고 있어 지방의 서민경제가 더욱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정부가 외치는 경제활성화는 지방에서는 체감하지 못하고 있어 지방에서도 마음놓고 기업을 운영하고 상가를 임대해 장사할 수 있도록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