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의 공동화를 방지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이 시·군별로 다양하게 기획·추진되고 있다.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선도적으로 시행 중인 군산시를 비롯해 전주와 익산, 김제·정읍시 등이 경제기반 상실과 인구감소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해 갈수록 쇠퇴화되고 있는 원도심을 살리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군산시의 경우, 내항지구와 연계한 근대역사문화지구가 국토부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선도사업에 선정돼 2017년까지 국·도비 120억 원 등 200억 원을 투입해 근대건축물 정비와 보행자중심 테마거리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 한창 진행중이다.
또 전주와 익산지역은 올 3월 쪽방촌 등 생활환경이 열악한 장소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새뜰마을사업에 선정돼 현재 마스터플랜이 수립되고 있는 등 다양한 사업이 발굴·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주·남원시는 올해 원도심 재생을 위한 국토부 공모사업에 신청하고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며, 익산과 정읍·김제시 등은 도시재생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등 일선 시군이 도시재생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는 군산시 사례에서 보듯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면서 그동안 방치됐던 건축물들이 새롭게 조명받는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사업으로 원도심이 활기를 되찾게 되는 등 사업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 관계자는 “지역에 방치된 목욕탕과 여관을 개조한 미술관 및 예술가 작업공간이 운영중이고, 노후주택을 리모델링해 도시형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는 등 지역 특성에 맞춘 사업 발굴로 원도심 지역이 활기를 되찾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행정 주도의 도시재생이 아닌 지역주민들과 협력해 진행될 경우 그 성과는 더욱 컸다”고 덧붙였다.
실제 군산 근대역사문화지구의 경우 올 상반기 동안 이 곳을 찾은 관광객은 지난해 164%가 증가한 34만1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도 고재찬 건설교통국장은 “도시재생사업은 기존 시설물 정비 위주의 도시정비사업과 달리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협력이 이뤄질 때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사업”이라면서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