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결국 사단법인 전북디지털산업진흥원의 조직과 기능을 확대해 도 출연기관 ‘전북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을 설립하기로 중지를 모았다.
지난해 7월부터 추진한 전북디지털산업진흥원과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통합이 지지부진한 데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규칙 개정에 따라 사단법인 체제에서는 국가 공모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는 시급성이 맞물린 결과다.
6일 전북도에 따르면 내년 1월 출범을 목표로 한 재단법인 전북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은 2개 본부 3개 팀 13명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전북디지털산업진흥원은 해산하고, 공개 채용 시 기존 직원에 대한 가점 부여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러한 결정에는 진척 없는 통합 논의가 한몫했다. 전북도와 전주시는 지난해 7월부터 통합 기관인 전북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설립을 추진했지만, 9개월이 지나 뒤늦게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 통합 타당성 분석을 의뢰했다.
결국 전북도 출연기관 설립이 결정된 현시점에서조차 중간 결과물은 도출되지 않았고, 운영비 명목으로 확보한 5억 5000만원은 추경에서 삭감됐다.
또 지난 4월 말 문체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사업관리규칙이 개정되면서 지자체 조례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은 과제 수와 누적 금액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즉 내년부터는 지자체 출연기관이 아닐 경우 콘텐츠 분야 국가 공모사업에 참여하기가 어렵다.
다만 전북도는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의 통합 가능성이 전부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전북도 관계자는 “국가공모사업이 대부분 상반기에 진행되기 때문에 자체 출연기관을 설립하는 방향으로 결정했다”며 “문화콘텐츠 분야에 대해 최소 조직과 인력으로 재단을 설립하고, 향후 ICT(정보통신기술) 분야까지 사업 규모를 확대할 때 자체 확장이나 통합이 재논의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