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정위는 무늬만 독립기구" 여야 추천위원 4대4로 맞서 합의안 도출 힘들어

내년 4·13 총선의 선거구 획정을 맡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획정안 제출 법정시한이 엿새 남은 7일까지도 획정작업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지역선거구 수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여야가 각각 4명씩 추천한 획정위원들이 안건마다 ‘4대4’로 나뉘어 대립하면서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선거사상 처음으로 국회 밖에 ‘독립기구’로 설치된 획정위가 ‘무늬만독립기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선거구 획정 작업에 착수하려면 기본적으로 지역선거구 수와 권역별 의석수, 상한·하한 인구수 등이 정해져야 하지만, 획정위는 아직까지 아무 것도 결정하지 못했다.

 

원래 선거구획정의 ‘가이드라인’ 격인 획정기준을 국회가 만들어야 하지만 여야는 획정기준을 합의하지 못하고 ‘직무유기’를 했고, 보다못한 획정위가 법정시한 준수를 위해 자체적으로 기준을 만들어 획정작업을 하겠다고 ‘선언 ‘했으나 빈말에 그친 것이다.

 

이런 상황은 획정위가 구성될 때부터 ’예견된 한계 ‘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4월 국회를 통과한 선거법에 따라 출범한 획정위는 중앙선관위 사무차장 출신의 획정위원장과 여야가 각각 4인씩 추천한 위원을 합해 총 9명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획정안 의결은 ‘3분의 2’가 찬성해야 가능토록 규정했다.

 

즉 획정위원 9명 중 6명이 찬성해야 획정안이 통과되는 것이다. 획정위원장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한 진영이 상대 진영에서 최소 1명의 동의를 이끌어내야만 의결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매 회의마다 획정위원들이 자신을 추천한 정당의 입장에 따라 정확히 절반씩 나뉘어 맞서는 형국이 되풀이되면서 획정위은 여전히 정치권의 ‘입김’에 좌우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획정위가 겉으로는 독립기구인듯 보이지만 여야 추천을 받은 위원들이 ‘4대 4’로 맞서는 한 합의안 도출이 불가능해 ‘여야 대리전’을 치르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