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경영컨설팅업체 아인스파트너와 함께 ‘직장인이 체감하는 저성과자 관리’에 대해 조사했다.
우선 직장인들에게 ‘근무하는 회사에 저성과자 관리 프로그램이 있는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3.5%(446명)이 ‘없다’고 답했다. 반면 ‘있다’는 답변은 26.5%로 약 4명 중 1명 정도로 나타났다.
회사에 저성과자 관리 프로그램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저성과자 관리를 위해 어떤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가’ 조사한 결과(복수응답)로는, ‘근무지이동/직무순환/교육 등’ 직원의 역량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답변이 77.6%로 높았다.
이어 ‘직급/연봉조정 등의 고용조건을 변경한다’는 답변도 52.8%로 높았다. 직장인들은 저성과자가 발생하는 원인 1위로 잘못된 직무 배치를 꼽았다.
조사결과 ‘직무의 미스매칭과 같은 조직의 문제’ 때문이라는 답변이 33.1%로 가장 높았다.
이 외에는 △ 역량/자질부족과 같은 본인의 문제(31.8%) △ 직속상사의 매니지먼트 능력의 문제(18.1%) △ 회사나 경영진의 관리소홀의 문제(16.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에서 저성과자를 선별하거나 이들을 위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직장인의 68.4%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잡코리아(유) 전북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