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9개 시·도교육청 교육감이 정부의 중·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에 맞서 '대안교과서'를 개발하기로 합의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지난 16일 전국 9개 시·도 교육감이 (별도의) 역사 교과서를 공동 개발하자는 데 의견일치를 봤다"고 19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밝혔다. 대안교과서 개발에 참여하기로 한 교육감은 김 교육감과 전국 시·도교육감 협의회장을 맡은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민병희 강원도교육감 등으로 알려졌다.
김 교육감은 "당시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최소 3곳 정도의 시·도 교육청이 (대안교과서 개발에) 더 참여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들 교육감은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예산을 내년도 예산안에 편성하자는 데도 합의했다고 김 교육감은 설명했다.
대안교과서의 방식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김 전북교육감은 보조교재 형식을 제시했고, 장 광주교육감은 선택 교과 방식을 희망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회의에 참석한 교육감들은 앞으로 의견 교환을 통해 최종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김 교육감은 전했다.
전북교육청은 대안교과서 개발이라는 큰 틀의 합의가 도출됨에 따라 일단 자체적으로 보조교재 개발을 위한 절차를 밟기로 했다.
교재 개발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한국사, 초등학교 사회 과목의 역사 부분을 대상으로 하기로 했으며, 이를 위한 연구위원회를 연말까지 구성하기로 했다.
김 교육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정권 교과서'를 만들자는 것으로, 역사교과 서에 대한 분서갱유"라는 입장을 재확인한 뒤 "우리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의식 형성을 위해 필요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