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이 교육부의 중등학교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대응해 자체 역사 보조교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19일 오전 열린 도교육청 확대간부회의에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대한 반대 의사를 재차 밝히며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비공개’ 원칙으로 지난 16일 일부 지역 시·도교육감들과 논의한 내용을 밝힌 것이다.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16일 김승환 교육감을 포함해 장휘국 광주교육감 등 모두 9명이 만나 역사 교과서 공동 개발 및 관련 예산 편성을 합의했다.
김승환 교육감은 또 확대간부회의에서 “역사 보조교재 제작 방법론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의견을 교환하면서 최종안을 마련하기로 약속했다”면서, “보조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위원을 연말까지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위원은 전북지역 내 역사 교사 및 역사학자들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역사 교사에 대한 연수 강화 및 프로젝트 학습 동아리 활성화 등 다양한 교육활동 지원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전북도교육청이 택한 방식은 ‘보조교재’ 방식으로, 일선 학교의 역사수업 시간에 도교육청의 자체 교재를 병행 활용하는 방안이다.
이는 대통령령인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라 국정 및 검정 교과서를 쓰는 교과에서는 다른 교과서를 쓸 수 없게 돼 있기 때문으로, 자체 보조 교재가 발간된다면 앞서 발간된 ‘동학농민혁명’ 및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교재와 유사한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승환 교육감은 “분명한 것은 우리가 역사 보조 교재를 만들어도 절대 학교 현장에 강제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강조, 교재 활용 여부는 학교 현장의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