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유통매장 이익 환원 난색

전북도·7개 시군, 지역상권 상생협력 방안 간담회 / 업체, 매출 부진 하소연…'제한선' 마련 요원

자치단체와 대형 유통업체가 지역 환원 관련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기 위해 만났으나 ‘동상이몽’이었다. 전북도는 시·군 의견 조사를 통해 지역 환원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으나, 도내 대형 유통업체의 ‘매출 하소연’과 ‘본사 권한’ 발언에 입도 떼지 못했다.

 

도는 20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전주시·군산시·익산시 등 7개 자치단체, 롯데백화점·홈플러스·이마트·농협하나로클럽 등 16개 대형 유통업체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지역 상권 상생 협력 방안 간담회’를 열었다. 이는 지난해 16개 대형 유통업체에서 1조 1917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지역 환원이 미미하다는 지적에 따라 마련된 자리였다.

 

도는 지역환원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실시한 시·군 의견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주시는 지역 상품 구매(매출액의 10% 이상), 공익사업 참여(매출액의 0.5% 이상), 지역 인력 고용(95% 이상), 지역 업체 입점 등을 제시했다. 군산시도 지역 농산물(로컬푸드) 입점, 사회공헌 활동 및 공익사업 참여, 지역 인력 고용(90% 이상), 지역 특산물 행사 진행 등의 의견을 냈다.

 

그러나 대형 유통업체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여파로 경영 여건이 악화되고, 기업형슈퍼마켓(SSM)·온라인 쇼핑 등 유통 채널 다각화로 매출이 감소하는 시기라며 오히려 어려움을 호소했다. 지역 환원에 ‘공감대 형성’에는 뜻을 같이했으나, 의사 결정 권한은 본사에 있다며 점포 차원의 애로 사항을 토로했다.

 

홈플러스 익산점 관계자는 “유통업체에 납품하는 지역 농·축·수산물의 경쟁력에 대해 감정적인 판단이 아닌 객관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공산품이나 의류가 유통업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지역에서도 농·축·수산물 외에 특산품을 개발해 납품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롯데마트 군산점 관계자는 “전북뿐만 아니라 전국 단위의 지역 환원 논의를 이어가고, 본사 관계자가 참석한 자리를 마련한다면 현실적인 대안 도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마트 군산점 관계자는 현재 시행 중인 ‘지역단체 마일리지제도’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이 관계자는 “매출의 0.5%를 지역에 환원하는 지역단체 마일리지제도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며 “지정된 모금함에 이마트 영수증을 기부하면 구매 금액의 0.5%를 적립해 해당 자치단체 단체, 기관에 기부하는 형식”이라며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