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전용부두을 운영하고 있는 군산컨테이너 터미널(주)(이하 GCT)의 앞날이 안갯속이다.
대표이사의 선임이 미뤄지고 있는 가운데 경영위기에 몰려있는 GCT의 정상화방안마련도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8일자로 새로운 대표이사가 선임돼야 하나 전북도와 군산시의 공모제 추진과 경영정상화방안 마련요구 등의 벽에 막혀 미뤄지고 있다.
그러나 현 GCT의 상황을 고려할 때 경영정상화는 녹록치 않은 상태다.
GCT는 현재 부두임대료와 항만현대화기금 약 12억원 조차 연체하고 있는데다 총 93억원의 자본금은 이미 모두 잠식돼 14억원의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유동성이 바닥나 GCT를 내년말까지 정상적으로 경영하려면 한달에 평균 3500만원을 수혈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일단 GCT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20억원정도가 필요하나 이미 14억원과 9억원 등 2차례 유상증자를 한데다 최근 항만 물동량 부족으로 민간 주주 3사인 CJ대한통운과 세방및 선광은 추가 부담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특히 민간투자부두로서 군장항 잡화부두의 운영사인 군장신항만(주)의 운영출자자인 CJ대한통운과 세방은 부채 원리금 상환에 심각한 부담마저 안고 있어 GCT 경영정상화를 위한 추가 부담을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게다가 애초 오는 2018년 완공키로 돼 있는 새만금 산단조성조차 지지부진, 완공시기가 불투명한 상태로 컨테이너물동량 확보를 통한 조속한 경영정상화기대도 요원하다.
이에따라 경영정상화방안 마련이 쉽지 않아 일부 주주사사이에서 지분매각 검토설이 흘러 나오고 있으며 대표이사의 선임도 언제 이뤄질 지 알 수 없는 등 GCT의 앞날이 오리무중이다.
항만관계자들은 “국제무역항의 상징인 군산컨테이너부두의 운영자인 GCT를 장기간 방치해선 안된다”고 들고 “관련 주주사들이 지분 매각 등 조속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GCT는 CJ대한통운 27.56%, 세방과 선광이 각 27.19%, 전북도와 군산시가 각 9.03%씩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