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가 보육료 인상 및 누리과정 지원 보장 등을 요구하며 전국 규모의 집단휴원을 예고하고 나선 가운데, 전북지역 어린이집들의 집단행동 수위는 일단 ‘순환 연가 투쟁’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에서 ‘보육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아졌다.
이계순 전북민간어린이집연합회 회장은 25일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보육교사들이 돌아가면서 연차 휴가를 내는 식으로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합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아이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방법을 택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학부모 수요조사 등을 통해 순번제로 교사들이 연차 휴가를 사용하게 되며, 어린이집 차량 운행도 최대한 줄일 계획이다.
이 회장에 따르면 전북 지역 어린이집 1600여 곳 중 민간어린이집연합회 소속은 501곳이며, 원아 수는 약 2만4000명, 교사는 약 3700명이다.
현행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제23조)에 따르면 어린이집은 천재지변이나 감염병 발생 등과 같은 정당한 사유 없이는 휴원할 수 없도록 돼 있어, 법규상 저촉되는 부분을 피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앞서 지난 22일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영아반 보육료 단가 10% 인상 △어린이집 누리과정 보육료 정부 책임 이행 등을 포함한 총 6가지 사항을 요구하며 세종시 정부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으며, 휴원 등 집단행동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이계순 전북민간어린이집연합회 회장은 “현재로서는 국회 및 정부를 상대로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 차원에서 조율 중이며,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대규모 행동을 이어갈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