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기업 뜬다 (하) 전북 현황·육성 방안] 업체 1000여곳 추산…대부분 경영난

자금 사정 어렵고 판매망 확보 제대로 안돼 / 공공조달 시장서 권장 아닌'의무구매'필요

창업을 꿈꾸는 장애인과 성장세를 보이는 장애인기업이 도내에도 적지 않지만 사회적 편견 등 아직까지 넘어야할 산이 많다.

 

10월 현재 전북지방중소기업청에 등록된 도내 장애인기업은 139개로 미등록된 장애인기업을 포함하면 도내에는 약 1000개 이상의 장애인기업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기업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전북지역 장애인기업은 총 1592개(추정치)로 집계됐다.

 

전북에는 지난 2013년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전북센터가 문을 열고 장애인기업 및 장애인 예비창업자 육성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차민혁 전북센터 매니저는 “센터 설립 초기에 비해 예비창업자나 장애인기업 관계자들의 경영지원 문의가 점점 늘고 있다”며 “센터에 입주한 기업 중에는 수십억의 매출을 내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 완주군에 위치한 장애인기업 (유)스쿨디자인은 지난 2008년에는 매출이 1억원을 밑돌았지만 현재 올 상반기에만 사무용 가구 분야에서 30억원 가량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장애인기업은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지난 2013년 장애인기업실태조사에서 도내 장애인기업들은 자금조달(40.8%), 판매선 확보(35.7%) 등을 경영상 어려움으로 손꼽았다.

 

또한 수치로 드러나지 않을 뿐, ‘장애인기업’ 혹은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과 사회적 편견 등도 경영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게 장애인기업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원 제도에 대한 정비 역시 앞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다.

 

일례로 중소기업청이 지자체·공기업 등 공공기관에게 장애인기업제품 구매를 독려하고 있지만 호응도는 낮은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장애인기업제품 권장구매비율은 총구매액의 0.45%로 중소기업제품(50%)이나 여성기업제품(3~5%)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이마저도 지켜지지 않는 기관이 적지 않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15개 자치단체 중 전북도청(0.1%)·군산시(0.2%)·무주군(0.3%), 전북교육청(0.4%), 전북대병원(0.1%) 등은 장애인기업제품 구매실적이 권장비율을 밑돌았다.

 

전북대병원(지난해 1억7000만원→2015년 계획 200만원) 등 오히려 구매목표가 축소된 기관도 있었다.

 

이같은 상황을 고려할 때 지난해 권장사항에서 의무구매로 전환된 여성기업제품처럼 공공조달시장에서 장애인기업제품이 활발히 유통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장애인기업이란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으로서 해당 기업에 고용된 상시근로자 중 장애인의 비율이 30% 이상인 기업을 말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