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전 공공기관 인력의 이탈이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의 희망퇴직 비율이 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가 새누리당 소속 국회 이노근 의원에게 제출한 지방이전 공공기관 퇴직자 현황에 따르면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한 86개 기관의 지방이전 완료 후 올 8월까지 퇴직한 임직원은 총 1384명에 달했다.
이중 희망퇴직자는 683명으로 전체 퇴직자의 절반을 차지했다. 나머지는 정년퇴직(221명, 16%)과 계약만료(424명, 31%) 등이다.
혁신도시별 희망퇴직자는 광주·전남이 170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대구(105명), 충북(84명), 부산(71명), 경남(69명)이 이었다.
전북의 경우, 이전 완료 후 희망퇴직한 임직원 수는 66명이다. 전북 혁신도시로의 이전 직전 임직원 2709명 가운데 2.44%가 희망퇴직한 것으로, 희망퇴직자 비율이 전국 10대 혁신도시 가운데 4번째로 높았다.
희망퇴직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로 194명의 임직원 가운데 25명이 희망퇴직해 12.89%를 기록했다. 충북(4.63%)과 대구(3.52%), 광주·전남(2.34%)의 순이었다.
전북 혁신도시로 이전한 11개 기관 가운데는 국립농업과학원이 514명의 임직원 가운데 16명(3.11%)이 희망퇴직자가 가장 많았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355명 중 15명(4.23%), 국립축산과학원은 136명 중 6명(4.41%), 한국국토정보공사는 228명 중 6명(2.63%)이 희망퇴직했다.
이노근 의원은 이 같은 희망퇴직자 속출에 대해 지방 이전에 따른 거주지 및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는 못한 점을 주된 요인으로 꼽으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혁신도시의 편의시설 및 교통 인프라를 확충해 계속되는 인력 유출을 차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