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국안민(輔國安民)을 기치로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일어났던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당시 직접민주주의를 실천하기 위해 집강소를 설치하는 등의 역사적 사실은 한국사뿐만 아니라 세계사적으로도 의미가 크며, 이를 기록한 자료는 세계 농민항쟁사에서도 유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풍부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 같은 주장들은 28일 전주 역사박물관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주최로 열린 ‘동학농민혁명 자산 활용 방안’ 학술대회에서 제기됐다.
이날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에는 인간존중, 직접민주주의, 평등, 민주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 농민군의 정신이 담겨 있는 만큼 인류가 지켜내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세계 여러 곳에서 농민항쟁이 일어났지만, 일정한 장소와 시간에 집중적으로 기록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희귀성을 가지고 있다”면서 “농민군, 정부, 관료, 진압군, 민간지식인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된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봤을 때 역사적 사료로 완전성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형오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도 “지난 2004년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자치단체 중심의 기념사업에 치중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역사문화콘텐츠로 성장하지 못했다”면서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역사자원인 동학농민혁명을 세계적 콘텐츠로 만들기 위해서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지난 6월 세계기록유산등재추진위원회을 꾸린 뒤 4차에 걸쳐 학술연구분과위원회를 개최해 신청 기록물 목록을 확정한 뒤, 문화재청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서를 제출했다.
현재 문화재청의 세계기록유산 공모에 접수된 기록물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4·19혁명 기록물 등 12건이다.
문화재청은 다음달 문화재위원회 심사를 통해 이 중 2건을 등재 대상 기록물로 선정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최종 등재 여부는 오는 2017년 6~7월 중에 결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