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민간부문까지 확대해야"

전북 평균 월급 128만원…최저임금 미만 27% / 전문교육기관 필요·고용제도 체계적 활용해야 / 道· 노인일자리센터 포럼

전북지역 14개 시·군 중 10개 시·군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노인 일자리의 외연 확대를 위해서는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 등 대안적 사회 조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는 전북도와 전북노인일자리센터가 29~30일까지 부안군 대명리조트에서 개최한 ‘2015년 전북노인일자리 포럼 및 워크숍’에서 나왔다.

 

이날 행사는 전북노인일자리센터가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도내 358개 민간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노인 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주제 및 토론 발표로 이어졌다.

 

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민간 사업장의 경우 노인 인력을 채용한 283개 민간 사업장 중 60세 이상 노인 인력을 신규 채용한 곳은 72.1%에 달했다. 향후 60세 이상자를 대상으로 한 채용 계획을 묻는 말에는 167개 민간 사업장(46.6%)이 채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 평균 임금은 128만원이었다. 5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는 경우는 5.3%로 조사됐다. 주5일 8시간 근무자 가운데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는 최저임금 116만원 미만의 임금을 제공하는 비율도 26.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수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배진희 교수는 노인 생산성에 대한 인식이 노인 인력의 고용, 신규 채용, 추후 채용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또 고용주의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 인력을 고용할 가능성이 크고, 도시보다 도·농 통합 시나 군 지역의 사업장이 노인 인력을 채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풀이했다.

 

전북연구원 이중섭 연구위원은 “전북 노인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지원 공공 부문의 일자리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민간 부문의 수요를 반영한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며 “공급기관의 부족이나 부재로 적절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한 지역을 대상으로 돌봄 중심의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을 설립해 지원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이외에도 이 연구위원은 노인의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훈련지원기관이 필요하고, 노인인력고용제도를 체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