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선거구를 획정해야 하는 법정 시한(11월 13일)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야의 논의는 한발자국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달 4일 여야 원내대표 등이 참여하는 2+2 회동이 오랜만에 예정돼 있지만 쟁점인 국정 교과서 문제로 선거구 획정을 위한 논의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장기 표류가 우려된다.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달 13일 획정 안을 제출하지 못한 이후 정치권에서 거론조차 되지 않았던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 여당 지도부가 모처럼 만에 입을 열었다. 지난달 29일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에서는 “선거구 획정을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뒤늦게 터져 나왔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선거구 획정을 더 늦춰서는 안 된다. 여야는 당당하고 신속하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가동하고 획정위에서 논의해서 투명하게 4월 총선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획정위가 선거구를 결정하지 못하고 국회로 공을 넘긴 후 역사교과서 문제로 정개특위가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며 “11월 13일을 넘기고 연말까지 결론 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연말까지 선거구가 획정되지 않으면 선거구 자체가 없어져 예비후보 자격이 없어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국회 광장에서는 농어촌·지방 선거구 사수를 위한 집회가 열렸다. 집회 참가자들은 “여야 지도부는 선거구 획정 기준 마련을 위해 즉각 협상에 임해야 하며, 정치권은 11월 13일 선거구 획정 법정기한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이어 “여야 지도부는 농어촌과 지방의 지역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칙과 기준을 마련해야 하며, 지역균형발전, 기형적 선거구 방지를 위해 농어촌과 지방에 ‘특별선거구’를 설치하라”고 촉구했다.
여당과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이 같은 요구에도 정치권은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다. 이런 가운데 이달 4일 여야 원내대표 2+2 회동이 예정돼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선거구를 획정해야 하는 법정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여야가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진전을 이뤄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2+2 회동에서 최근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관련해 현행 검인정 교과서 검증위원회 구성을 문제를 논의하자는 야당의 제안에 대해 여당이 난색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져 선거구 획정을 위한 논의는 어렵지 않겠냐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치권은 국민과의 약속(법정시한)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열심히 지역에서 뛰고 있는 신인들은 획정이 완료되지 않아 그 어느 때보다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제발 빠른 시일 안에 결론을 내놓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