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일부 시·군의 녹색 제품 구매율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의 녹색 제품 구매율은 평균 20%를 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시·군의 구매율은 한 자릿수를 기록하는 등 친환경 제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이 구매한 제품 가운데 녹색 제품의 비율은 17.4%에 그쳤다. 김제시와 장수군의 녹색 제품 구매 비율은 각각 6.9%, 9.6%로 10%를 밑돌았다. 이어 남원시 11.8%, 고창군 12.2%, 완주군 12.5%, 진안군 14.3%, 임실군 15.5%, 순창군 17.1% 등의 순으로 구매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9월 기준 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의 녹색 제품 구매율도 평균 18.3%로 조사됐다. 익산시 41.5%, 군산시 33.5%, 전주시 25.0% 등이 도내 평균치를 웃돌았다. 반면 김제시와 장수군은 각각 7.9%, 9.0%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 자릿수 구매율을 기록했다.
녹색 제품은 ‘저탄소 녹색 성장 기본법’에 따라 에너지·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이다. 중앙정부, 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은 상품 구매 시 환경마크제품이나 우수재활용제품(GR마크) 등 녹색 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지난 2005년 제정된 ‘녹색 제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녹색 제품 구매를 독려하고 있으나 이를 지키지 않아도 별다른 페널티가 없어 녹색 제품 구매 실적은 저조한 실정이다.
전북도는 지난해 녹색 제품 구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구매 금액의 58%를 차지하는 아스콘의 녹색 제품 구매율이 0%로 나타난 부분이 구매율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풀이했다.
자치단체의 경우 건설자재 구매가 물품 구매의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지만, 녹색 제품 구매는 대부분 사무기기 위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자치단체 구매품 중 건설자재는 89%, 사무기기는 11%를 차지하고 있으나 녹색 제품 구매율은 건설자재는 7.6%, 사무기기는 50.06%로 나타났다.
전북도 관계자는 “내년에는 건설자재에 대한 녹색 제품 구매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