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현장 집행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현장인력을 확대하고 중간 지원조직을 줄이는 방향으로 조직이 개편된다.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12일, 수요자 맞춤형 농정서비스를 강화하고, 일선 농정조직을 효율화하기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 조직개편 방향을 발표했다.
전북지원의 경우 종전에는 지원장 포함 44명이 근무했으나, 내달부터 25명으로 크게 줄인다.
대신 줄어드는 19명중 18명을 도내 11개 사무소에 배치하고, 1명은 본원으로 옮긴다.
이에따라 도내 사무소 인력은 종전 87명에서 105명으로 늘어나게 되며, 각 사무소별 인력은 평균 7.9명에서 9.5명으로 늘어난다.
농관원은 농산물검사 중심에서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개방 확대에 따라 안전성조사, 원산지단속 및 농가 맞춤형 지원 등 현장 중심 대국민 접점 농정조직으로 기능과 역할이 확대돼, 그동안 기능조정 필요성이 제기됐다.
행자부 관계자는 “농관원의 중간조직인 지원의 기능을 대폭 축소하고, 감축된 인력을 현장사무소로 재배치하는 조직개편안을 마련해 내달말부터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북지원을 포함해 전국 9개 지원 가운데 제주지원을 제외한 8개 지원의 운영지원과, 조사분석과를 유통관리과와 품질관리과에 기능적으로 통합해 전국적으로는 16과 176명이 감축되는 게 골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