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경로당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경로당을 단순한 여가시설로 활용하는 것보다는 홀로노인과 치매노인들의 복지수요에 맞는 공동주거시설·돌봄시설 등으로 재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6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에는 모두 6530개소의 경로당이 운영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정읍이 682개소로 가장 많았고, 익산 649개·김제 612개·전주 586개·고창 571개·남원 484개·군산 484개·부안 462개·완주 422개·순창 369개·임실 339개·진안 327개·장수 273개·무주 270개 등이다.
지난 2013년 6472개였던 도내 경로당은 1년 새 58개소 증가했는데 통계가 집계된 지난 2009년부터 경로당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경로당 수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지적과 함께 경로당의 기능에 노인 복지수요에 맞는 ‘돌봄기능’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하고 있다. 경로당의 기능 전환 및 확대를 통해 홀로·치매노인들의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홀로노인과 치매노인은 도시·농촌을 가리지 않고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복지 혜택은 서로 다른 상황이다.
‘농촌고령자 공동시설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전북도는 올해 26억3000만원을 들여 경로당을 공동이 생활할 수 있는 시설로 전환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들은 군산과 익산·남원·김제·완주·무주·장수·임실·순창·고창 등에서도 면 단위의 지역에만 한정돼 있어 도시에 사는 노인들은 이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도는 ‘2015년 시군별 홀로노인 가족화사업’을 통해 올해 10억(도비3억·시군비 7억)을 경로당 개선사업비로 편성했지만 대부분 리모델링 및 물품구입, 요가, 영화감상 등 여가시설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북연구원 미래전략연구부 이중섭 연구위원은 “경로당내에서 노인복지에 대한 수요가 변해가고 있는데도 여가시설 등의 프로그램 확대가 전부인 실정”이라면서 “홀로노인 가족화사업 예산을 확대, 경로당 20~30% 이상이 공동시설화 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전북도 노인장애인복지과 관계자는 “도시·농촌을 가리지 않고 고독하고 병마와 싸우는 노인들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시 단위의 노인들도 공동생활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시설사업 방안을 적극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