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이 나오는 형국이다.
전북도가 7년 전부터 지역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무역사절단을 파견하고 있지만, 현지 상담 실적이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사절단은 수출 계약이 성사될 때까지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중요하지만, 참가 업체의 실계약 여부조차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 실정이다.
16일 전북도와 중소기업진흥공단 전북지역본부에 따르면 전북도는 지난 2008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28번의 무역사절단을 파견했다. 올해 28개 업체를 제외하고 7년간 208개 업체가 무역사절단을 통해 총 9247억원 규모의 상담을 진행했다. 상담액의 4분의 1 수준인 2315억원가량의 계약을 추진했다는 분석을 내놓았지만 이마저도 실제 계약이 아닌 ‘계약 추진액’ 즉, 상담액 중 계약 가능성이 큰 예상치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 관계자는 “수출 실적은 개인 정보와 관련돼 있어 관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며 “내년부터는 무역사절단 신청 시 전년도 수출액 등 개인 정보 동의 절차를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데이터를 누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전북지역본부 관계자는 “통상 1년간은 사후 관리를 하지만 그 이상 추적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며 “한 차례의 상담으로 계약이 성사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수출 상황을 파악하고 해외지사화사업, 해외민간네트워크사업 등과 연결해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