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지방환경청이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반려하면서 군산 백석제 부지에 전북대병원을 건립하는데 한목소리를 냈던 전북대병원과 군산시가 상반된 입장으로 돌아서 사업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 전북대병원은 ‘백석제 부지 포기’, 군산시는 ‘백석제 부지 고수’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만금지방환경청은 17일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반려했다고 밝혔다. 백석제 외에 병원 입지가 가능한 지역을 대안으로 제시하지 못했고, 사유지 매입 곤란 또는 비용문제 등의 이유를 들어 환경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게 반려 이유다.
새만금환경청은 또 관련 용역안에 주요 생물종 분포현황과 보전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는 등 보완요구사항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전북대병원은 새만금환경청의 결정에 따라 대안 부지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전북대병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백석제를 최대한 원형으로 보전해야 한다는 새만금환경청의 결정을 겸허하게 수용해 부지 이전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을 위한 부지선정 문제, 국가예산 집행 문제, 사업지연에 따른 총사업비 증가 등 여러 가지 현안에 대해 병원 구성원의 의견수렴과 의사결정 과정을 거친 후 교육부, 기재부, 군산시 등 관계기관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군산시는 대안부지 모색이 아닌 현 백석제 예정부지에 병원 건립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는 이날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반려는 병원을 짓지말라는 부동의가 아니라 반려 내용을 보완해 환경영향평가서를 다시 제출하라는 것”이라며 “전북대병원과 협의해 반려 내용을 분석한 뒤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양 측이 서로의 의견을 존중해 사업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속내는 복잡한 상황이다.
전북대병원은 내부적으로 사업비용 등의 부담 때문에 다른 대안을 찾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군산시가 기존 입장을 계속 고수한다면 환경단체의 반발은 물론 전북대병원과 대립각을 세울 수 있는 상황도 예측 가능하다.
군산시는 대다수 시민들이 원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기존 안대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전북대병원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맞서야 하는 부담도 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업 주체인 두 기관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한편 전북지역 2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백석제 보전을 촉구하는 전북 시민사회단체’는 17일 “군산시가 진심으로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한다면 군산 전북대학교병원 건립 부지를 즉시 변경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