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내년도 예산안이 1조 3424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이는 올해 애초 예산(1조 2834억원) 보다 590억원(4.60%) 증액된 규모다.
전주시의 내년도 예산안은 전주형 먹거리와 공동체 형성, 동네복지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전주시는 18일 1조 3424억원 규모의 내년도 본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하고 심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일반회계는 1조 1426억원으로, 기초노령연금과 영유아 보육료 등 복지분야 사업과 팔복동 새뜰마을 조성, 노후산단재생사업 같은 국정시책사업 추진으로 국고보조사업이 증가하면서 지난해(1조 850억원)보다 577억원(5.31%) 증가했다.
상·하수도 공기업 특별회계 등 9개 특별회계는 올해 애초 예산(1984억원) 보다 13억원(0.69%) 증가한 1998억원 규모로 책정됐다.
시는 재정여건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행사성 민간보조금을 5%씩 일률 삭감했으며, 행정경비도 줄였다.
시는 2016년 재정운영 방향을 △가장 인간적인 복지도시 구현 △친환경 생태도시 조성 △글로벌 문화도시 지향 △활기찬 일자리 도시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또 시민의 안전과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재난·재해 예방 및 폐기물 처리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예산을 투자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이날 열린 제325회 전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복지·생태·문화·일자리 도시 전주 건설에 중점을 둔 ‘2016년도 시정운영 방향’을 설명했다.
김 시장은 “국가 주도의 시대에서 도시 중심의 시대로, 국민의 시대에서 시민의 시대로 시대의 패러다임이 변해가고 있으며, 전주가 바로 그 시대적 패러다임을 열어젖힐 선두에 있다”며 “사람의 도시, 품격의 전주 실현을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주시의회는 전주시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을 다음달 19일까지 진행되는 제325회 제2차 정례회에서 심의할 계획이며, 시는 예산(안)이 확정되는 대로 경기안정화 및 서민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