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이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응해 주도적으로 역사 보조교재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간 전북도교육청이 개발·배포한 역사 관련 보조 교재들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을까?
지난 30일 전북일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전북도교육청으로부터 ‘역사 보조교재 활용 실적’을 받아 분석한 결과, 도교육청이 개발·배포한 역사 관련 보조교재들이 도내 초·중·고교 현장에서 비교적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고등학교 133곳 중 올해 역사수업에 ‘동학농민혁명’ 교재를 활용한 학교는 122곳,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교재를 활용한 학교는 120곳이었다.
이들 학교에서는 역사수업 중 근·현대사 부분의 수업을 진행할 때 주로 이들 교재를 활용했으며, ‘동학농민혁명’ 교재를 활용한 수업 시간은 평균 5시간이었다. 이는 현행 검정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정도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이다. 현행 고교 한국사 교과서들은 대부분 동학농민혁명을 갑오개혁과 묶어 설명하거나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으로 뭉뚱그려 4~6쪽 수준으로 다루고 있다.
중학교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이 186곳, ‘일제강점기 전라북도’가 179곳에서 활용됐으며, 초등학교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이 227곳,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는 262곳에서 활용됐다.
두 교재 모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이나 학생 동아리 활동 때에도 활용됐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에 이들 교재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동학농민혁명’ 교재는 121개 초등학교에서 4651명이 이용했고,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는 136개 초등학교에서 5839명이 이용했다.
또 역사과목이 아닌 다른 수업에 활용하는 경우나 계기교육, 또는 현장학습 등에 해당 교재를 활용한 경우도 소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교육청 학교교육과 관계자는 “교재와 함께 교사의 역사 인식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 교육연수원에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늘려달라고 요청한 상태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정부의 중·고교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대응, 역사 보조교재 개발을 추진 중이다.
도교육청은 이를 위해 내년도 본예산안에 1억6000여만원을 책정해 놓은 상태이며, 집필진 선정 및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태스크 포스’ 구성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는 별개로 ‘전라북도의 근현대 인물이야기’ 교재 개발 작업도 막바지 단계에 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