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수유통 논란이 일었던 새만금호에 대해 담수를 전제로 한 추가 수질개선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새만금위원회는 4일 서울정부청사에서 공동위원장인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회의를 개최하고 오는 2020년 새만금호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 기존의 수질대책 이외에 3개 추가대책을 추진키로 결정했다.
추가 대책은 △전주하수처리장 증설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확대 △우분 연료화 사업 등으로, 이들 사업은 내년부터 추진된다.
이날 보고된 새만금호 중간평가 결과, 오는 2020년까지 농업용지는 목표수질(4등급)을 달성할 수 있으나, 도시용지는 목표수질(3등급) 달성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3개 추가대책이 2단계 대책과 함께 추진될 경우 목표수질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황교안 총리는 “기존대책 및 추가대책을 착실히 이행하여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면서“수질개선 변화 추이 등을 매년 점검·평가해 필요한 대책과 함께 위원회에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함께 회의에서는 새만금사업 추진현황, 한·중 경제협력 추진현황 및 대책, 광역기반시설 조성현황 등 새만금사업 전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새만금청은 “새만금방조제 내부 매립공사가 현재 9% 진행됐으며, 66개 기업과 14조6000억원 규모의 업무협약(MOU)를 체결하는 등 어느 정도 사업성과가 있다”면서 “국제협력용지, 관광레저용지 등 핵심용지에 대한 사업시행자 유치 등 새만금사업 전반의 활성화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며 대책마련을 요청했다.
이와 과련해 정부는 규제완화, 인센티브 제공 등 투자활성화 방안을 범정부적으로 마련키로 했다
황 총리는 새만금청에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것을 주문하면서 “새만금사업은 범부처적 협업이 필요한 사업이므로 새만금개발청, 관계부처, 전라북도, 총리실이 긴밀히 협의하고 지역 주민과 소통해 성공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