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구 획정' 또 빈손

성과없이 30분 만에 종료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선거구획정 기준의 합의안 도출을 위한 여야‘2+2 회동’에서 마주 앉아 있다. 연합뉴스

내년 4월 치러지는 20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15일)이 9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 획정을 위한 여야의 논의는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거구 획정 논의가 길어지면서 선거구가 살아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야 지도부는 6일 내년 4·13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 기준을 협상하고자 회동했지만, 아무런 소득을 얻지 못한 채 헤어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만나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 조정, 권역별 비례대표제, 석패율제 등을 협의하려 했지만 비례대표 축소를 위한 대안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면서 30분 만에 회동을 끝냈다. 여야는 그동안 지역구를 늘리는 대신 비례대표를 줄이는 기본 방향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비례대표 규모를 지역구 의석수와 연동해야 한다는 새정치연합의 주장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여야 지도부가 다음에 다시 만날 날짜조차 기약하지 못하고 회동을 마치면서 예비후보 등록 차질과 내년 1월 1일부로 선거구가 사라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