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리사이클링타운 부실 우려"

전주시의회, 시정 질문…항공대대 이전 주민 대책도 촉구

7일 전주시의회에서 열린 시정질문에서는 종합리사이클링 건립비용과 폐기물 처리문제, 항공대대 이전지역 주민들에 대한 대책, 전주시 건설업체 수의 계약 환원조정,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점검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양영환 의원(동·서서학동, 평화1동) = 전주시 종합리사이클링타운 건립비용이 처리 용량에 비해 턱없이 적어 부실공사가 우려된다.

 

전주시와 비교할만한 고양시(하루 처리용량 260톤)는 692억 원인데 전주시(하루 처리용량 300톤)는 고양시의 54%인 378억 원이다.

 

또 전주시 대형폐기물 선별장 근처에 처리하지 못한 대형폐기물이 쌓여있다. 소각시설 일시 대정비와 고흥군의 반입 일시정지로 인해 이러한 사태가 벌여졌는데, 전주시는 왜 대책없이 바라만보고 있는가.

 

△송정훈 의원(팔복·조촌·동산·송천2동) = 항공대대를 임실로 이전시키려 할 때 전주시는 임실 주민에게 구체적인 액수와 방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도도동을 비롯한 조촌·동산동 주민에게는 어떤 것도 제시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전주시가 도도동과 인접지역 주민에게 어떻게 해줄 것인지 답변하라.

 

△김윤철 의원(중앙·풍남·노송동) = 도내 건설경기 상황이 열악해, 전주시의 1400여 전문건설업체가 힘들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의계약 금액을 500만 원으로 하향 조정한 것은 힘겨운 환경에서 목을 조르는 격이다.

 

수의계약 금액을 2000만 원으로 환원조정해야 하고, 소규모 수의계약건을 전주시에 소재를 둔 업체에 한정해 계약을 추진해야 한다.

 

△고미희 의원(비례대표) = 전주시는 매월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점검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정부는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는가.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해 QR코드를 활용해 시설안전상태를 점검한다. 그런 시스템을 도입할 의향은 없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