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전주문화재단이 <일제강점기 전통음악지킴이-국악의 본향 전주> (저자 황미연)를 펴냈다. 일제강점기>
이 책은 일제강점기에 문화예술이 침체했던 다른 지역과 달리 국악의 깊이와 영역이 확장된 전주의 전통음악 역사를 규명하기 위해 발간됐다. 당시 전주에서는 광대와 기생이 소리와 춤, 기악 등의 명맥을 잇고, 이를 즐기고 아낀 시민들이 있었다.
특히 이들은 조선후기 전라감영에 있었던 장악청(음악담당기관)의 음악문화를 이어 극장과 기생조합, 권번 등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당시의 명인·명창·명무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통의 맥을 이은 것은 물론, 독립운동과 만주동포를 위한 자금모집 등 사회참여운동에도 적극적이었다. 광대를 계승한 남진공연은 서울 등의 타지역과 해외공연에도 참여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이 책은 당시 신문과 사진, 구술을 통해 자료를 모으고 연구됐다. 자료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전주지역에서의 음악활동이 극장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사실도 규명했다. 광대와 기생집단이 참여했던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이들이 단순한 유희패가 아니라 전주의 전통문화를 유지·발전시켜온 전통문화 맥의 주체였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전주문화재단 변재선 팀장은 “전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악사 연구에서 일제강점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부족해 이 책을 기획했다”고 말했다.
이 책을 쓴 황미연씨는 “일제강점기에는 대부분의 전통문화가 사라지거나 훼손됐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는데, 전주는 독창적인 음악을 보급하고 향유하고 있었다”면서 “그러한 차별성이 전주를 국악의 본고장으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지금도 예향으로 주목받게 한 힘이었다”고 밝혔다.
한편 저자는 <전북국악사> <정읍국악사> 등 국악관련 저서 집필과 전통예술 연구활동을 해왔으며, 현재 전북문화재전문위원과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정읍국악사> 전북국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