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전담부서의 신설과 현 조직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산시의회 박정희 의원은 지난 18일 열린 제191회 제6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지난해 12월 전국 86개 지자체 중 13개 지자체가 국토교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음으로서 군산 도시재생사업이 본격 시작됐다”며 “도시재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담부서 신설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군산 도시재생사업은 월명동 일원에 200억원을 들여 근대역사문화도시 구현을 위해 근대건축물의 보전, 정비 및 원도심의 쇠퇴한 상권 활성화를 위해 기반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된 13개 지자체 중 순천, 광주동구, 청주, 창원, 부산 동구, 천안, 대구 남구, 목포는 현재 도시재생과를 신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외에 원도심 재생 및 주거환경개선과 관련한 사업추진을 위해 직제개편 및 조직을 신설한 시군도 무려 31곳에 이르고 있다.
특히 군산과 규모가 비슷한 순천시의 경우 선도사업 지정 후 4일 만에 안전행정국에 도시재생과를 신설하고 전담부서 및 전담인원을 배치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작 군산시의 경우 도시계획과에 속한 도시재생계 직원 4명이 고작으로 문화체육과, 관광진흥과, 도시계획과에서 각각 추진하는 다원화 된 사업으로 인해 효율성이 낮을 것으로 우려된다.
박정희 의원은 “도시재생사업은 한 분야에 국한된 게 아닌 토목, 건축, 문화, 관광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있는 점을 고려해 조직 신설과 함께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어느 한 부서에서 컨드롤 타워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도시재생 관련 부서간 혼란 및 사업추진에 대한 명확한 정책수반이 이뤄지기 힘들다”며 “도시재생 및 근대역사문화 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도시재생과를 설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