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13명

2명은 숨져…잠재적으론 2만5000여명 추산 / 1~2등급 4명만 병원비 등 지원, 9명은 못받아 / 전북환경운동연합, 현황 발표

▲ 전북환경운동연합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 회원들이 23일 전주지방법원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도내 가습기살균제 피해현황 발표와 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박형민 기자

전북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 모두 13명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중 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의 잠재적 피해자는 2만5000여명으로 추산되지만 병원비·장례비 등의 정부 지원은 일부 피해자에게만 돌아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3일 전북환경운동연합과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에 따르면 전북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모두 13명으로 이 중 2명(15.4%)이 숨졌다. 숨진 2명은 모두 성인 남성이며 A씨(당시 76세)는 지난 2013년 2월, B씨(당시 55세)는 지난 2008년 1월에 각각 호흡기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다 사망했다. 이후 조사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로 밝혀졌다.

 

이는 지난해 4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1차 조사와 올해 4월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발표한 2차 조사를 합한 결과라는 게 전북환경운동연합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역별로는 전주가 10명(1명 사망)으로 가장 많았고, 군산 2명(1명 사망), 익산 1명이다. 등급별로는 1등급(관련성 확실) 3명, 2등급(관련성 높음) 1명, 3등급(관련성 낮음) 1명, 4등급(관련성 거의 없음) 8명 등이다. 정부는 이중 1~2등급 판정자에 한해 병원비와 장례비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정부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들에 대해 관련성을 판정해 1~4등급으로 구분했는데 관련성이 높은 1~2등급에 대해서만 지원하고 있다”면서 “이는 제조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해 비용을 돌려받기 위한 조치로, 3~4등급 피해자들은 가습기 살균제 사용이 확인되었음에도 지원을 받지 못하는 매우 억울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전북지역 사망자 2명이 모두 4등급 판정을 받았는데 이들은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했다”며 “전북지역 잠재적 피해자가 2만5000여명에 이르는 점을 고려해 지역사회가 관심을 갖고 정부 정책을 변화시키고 피해자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는 지난 1994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해 2011년말 정부에 의해 시장에서 퇴출될 때까지 18년간 매년 20만병씩 팔리고 800만명의 국민들이 사용해 현재 확인된 사망자는 143명, 환자 387명이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추가 피해 접수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