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 연내처리 물건너가나

여야 , 7번째 협상도 결렬… 27일 재개키로

▲ 정의화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는 24일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회동을 갖고 내년 4·13 총선 선거구 획정안과 쟁점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정개특위 간사 이학재 의원,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정의화 의장,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새정치민주연합 정개특위 간사 김태년 의원. 연합뉴스

선거구가 없어지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여야의 7번째 만남도 빈손으로 끝났다. 서로의 탓만 있을 뿐 책임있는 정당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정의화 국회의장과 양당 대표, 원내대표, 정치개혁특위 간사 등이 크리스마스를 하루 앞둔 24일에 다시 모여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없이 끝났다. 오후 3시부터 2시간여 동안 대화를 나눴으나 원점에서 맴돈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과 양당 지도부는 오는 27일 일요일에 다시 만나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으나 양당 모두가 한 발짝도 양보하지 않는 모습이어서 전망은 불투명하다.

 

정치 신인들의 속은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연말까지 선거구가 획정되지 않으면 그나마의 제한된 선구운동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현역 의원들의 신분은 그대로 유지된다.

 

새정연 문재인 대표는 이날 회동이 끝난 뒤 “진전이 없었다”며 “한번 더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의장이 여러가지 중재노력을 했지만 새누리당이 모두 거부했다”고 밝혔다.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 이병석 의원이 제한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가미된 균형의석제, 정당득표율 보장 의석을 50%에서 40%로 낮추는 안, 선거연령을 18세로 인하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으나 모두 새누리당이 거부했다는 것.

 

선거구 획정이 무산된 뒤에도 정 의장과 양당 원내대표는 남아서 경제활성화 2법, 노동개혁 5법,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등 쟁점법안의 12월 임시국회내 처리를 논의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회의에 앞서 전 의원에게 서한을 보내 “의장으로서 피눈물 나는 심정으로 호소드린다”며 “12월 31일이 제19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날이라 생각하시고 모든 법안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