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중진과 수도권 의원들이 문재인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2선 후퇴와 조기 선대위 구성을 골자로 한 중재안을 내놨지만 문 대표는 조기선대위 출범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각론에서 시각차를 보여 전폭 수용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전날 중진과 수도권 의원들이 중재안이 공개된 후 문 대표가 추가 탈당이 없고 공천작업이 혁신위의 ‘공천혁신안’대로 실천될 것이라는 담보를 요구하는 바람에 중재안은 일정 정도 제동이 걸린 상태다.
문 대표는 전날 밤 한 수도권 의원과의 통화에서 “공천은 공천혁신안 시스템대로 하는 것인데 중재안을 보면 선대위가 이 시스템을 무시하고 공천권을 행사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추가 탈당이 없어야 한다는 인식에 대해 “탈당을 최소화하고 싶어서 그랬다.추가 탈당이 나오지 않아야 중재안이 유효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중진이나 수도권 의원들도 문 대표의 생각이 중재안과 상충된 부분이 있지만 중재안 자체를 폐기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우상호 의원은 “중재안 역시 문 대표의 ‘공천 혁신안’이 그대로 가동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쟁점은 양측이 진의를 교환하다보면 충분히 풀릴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중재안은 김한길 전 대표와 박지원 전 대표의 탈당을 막으려는 의도가 강하지만 정작 당사자들이 중재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여 더욱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들은 대표직 사퇴가 해법이어서 문 대표가 2선으로 후퇴하는 중재안은 수용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주변에 “총선에서 이기려면 바깥 사람들과 하나로 뭉쳐야 하는데 그 최소조건이 문 대표의 사퇴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안철수 의원을 포함해 외부 신당세력까지 통합해야 하는데 문 대표가 대표직을유지하는 이상 해법을 찾을 수 없다는 뜻이다. 박 전 원내대표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표의 사퇴 없는 수습은 감동이 없다”며 재차 문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