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친박-비박, 총선 공천룰 놓고 6시간 '성탄절 설전'

경선 여론조사 당원·국민 비율 집중 논의…결론 못 내려 / 주말엔 우선추천·단수추천 등 의제 '산 넘어 산'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가 성탄절 휴일인 25일 무려 6시간에 걸쳐 내년 총선 공천룰을 놓고 '마라톤 토론'을 벌였으나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당내 후보경선 여론조사의 일반국민-당원 비율 등 민감한 쟁점을 놓고 예상대로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이 날선 공방을 벌이면서 최종 합의까지의 험로를 예고했다.

 이날 오후 3시부터 9시까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회의는 지난 22일에 이은 2차회의였지만 첫번째 회의가 상견례 성격이었음을 감안하면 공천룰 의제가 본격적으로 다뤄진 사실상의 첫 난상토론장이었다.

 단 한차례 휴식시간만 빼고 6시간 내내 진행된 회의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논의 된 의제는 총선 후보경선 여론조사에서 당원과 일반국민의 비율을 현행 당헌·당규(50% 대 50%)대로 유지할지의 문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계는 이 비율을 현행대로 유지하자고 주장한 반면 비박계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상향식 공천 원칙을 충분히 살리려면 일반국민 의사 반영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비박계 특위 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비박계에서 일반국민과 당원의 비율을 7대 3까지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면서 "전체적으로 일반국민 비율을 높이자는 쪽과 현행대로 유지하자는 의견이 반반으로 팽팽하게 맞섰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처럼 양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렸지만 회의는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속에 서 진행됐다.

 특위 위원인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오늘 (위원들이) 얼굴 한 번 붉히지 않았다"며 "전반적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회의한 것은 새정치민주연합과 새누리당의 다른 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앞으로 남은 회의에서 다뤄질 의제들도 계파별로 견해를 달리하는 민감한 문제들이어서 '얼굴 붉히는 일 없는' 분위기가 계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위는 주말인 오는 26일과 27일도 여의도 당사에 모여 공천룰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당장 26일에는 최근 전략공천 활용 가능성으로 논란이 된 '우선추천 및 단수추천 방식'이 도마 위에 올려진다.

 또 이날 친박계 특위 위원인 김태흠 의원이 특위 내 논의가 필요하다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컷오프' 문제도 함께 다뤄질 예상이어서 친박·비박 간 치열한신경전이 전망된다.